1장 : 깃 시작하기

1. 깃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?

  • 버전관리
    • local 저장소에 관련된 내용 :: git
  • 백업하기
    • remote 저장소에 관련된 내용 :: github
  • 협업하기
    • git, github 다루기

2. 깃 설치하기

  • 기본적인 설치
    • 깃 설치 사이트에서 설치할 수 있다.
    • 설치과정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있는 것을 따라간다.
    • 설치가 완료되면 윈도우 작업 표시줄의 검색 창에 git이라고 입력한 후 검색 결과 중에서 Git Bash를 누른다.
    • git이라고 입력한 수 enter를 눌러보면 깃 명령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옵션이 표시된다면 설치 성공이다.
  • 깃 환경 설정
    • 사용자 설정을 위해 git config 명령을 사용합니다. 여기서 –global 옵션은 현재 컴퓨터에 있는 모든 저장소에서 같은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도록 설정한다.
    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사용자 이름"
    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사용자@이메.일
    

3. 리눅스 명령 연습

  • ~ : 홈 디렉토리
  • pwd : 현재 작업 디렉토리
  • ls : 디렉토리 내용 확인
  • cd : 디렉토리 이동
  • . : 현재 디렉토리
  • .. : 상위 디렉토리
  • mkdir : 디렉토리 생성
  • rm : 파일 제거
    • rm -rf : 파일, 디렉토리를 가리지 않고 삭제(-r : recursive, -f : force)
  • vim : 편집기
    • 기본 편집기 변경하기
    • git config -- global core.editor "notepad++"
  • touch : 빈 파일 생성
  • cat : 파일 내용 확인
    • cat [파일이름]
    • cat [파일1], [파일2], [파일3], ... , [파일n] > [새파일] : 파일n 개를 차례로 연결해서 새로운 파일을 만든다.
    • cat [파일1] >> [파일2] : 파일1의 내용을 파일2 끝에 연결한다.